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6

조선 18세기 왕 경종, 영조, 정조의 업적 | 영조의 이복형인 경종, 조선의 가장 오래 재위한 왕 영조,'만천명월주인옹'의 별명을 가진 정조 경종은 왕세자 시절에도 당쟁에 휘말렸습니다. 갑술환국으로 생모가 빈으로 강등되었습니다. (왕비에서) 숙종이 그의 생모에게 신당을 만들어 인현왕후를 저주했다는 죄명으로 자진하라는 비망기를 내렸습니다. 왕세자의 생모와 삼촌에 대한 처벌 문제를 놓고 왕세자에게 동정론을 펴는 소론과 노론이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숙종 후반으로 갈수록 이들 정파 간의 갈등이 커졌는데, 1746년 숙종 42년 숙종의 병신처분으로 노론이 정국 주도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조선시대 18세기 왕들의 업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숙종의 맏아들이며 영조의 이복형인 경종경종은 장희빈의 아들로 소론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초기에는 노론 우세, 건강문제로 왕세제 책봉이 있었습니다. (연잉군 → 노론 건의 ☞ 소론, 노론 .. 2024. 7. 5.
조선 17세기 왕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의 업적 1. 광해군(1608~1623)(북인):광해군은 중립 외교 정책을 합니다. 후금(누르하치, 1616)이 명나라와 대립관계를 이루고, 명이 조선에게 파병요청을 합니다. 이때 조선은 후금에 강홍립을 파병하여 상황에 따라 대처하게 합니다. 즉, 대의명분보다 실리를 선택합니다.(중립외교)1-1. 인조반정(1623) → 인조 즉위, 서인이 집권하게 됩니다. 광해군의 중립외교 정책에 대한 서인의 반발이 강했습니다.광해군의 실정: 페모 살제(인목 대비를 폐위시키고, 영창 대군을 살해합니다.)1-2. 전란을 수습  양전사업, 토지대장, 호적(인구조사)을 실시합니다. 이는 세금이 상승하고, 개간을 장려합니다. 북인이 집권(대북)하면서, 회퇴변척소(조식을 높이고 이언적, 이황의 문묘종사를 반대합니다. 정인홍이 유적에서 삭.. 2024. 7. 3.
조선 16세기 왕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의 업적 1. 연산군(1494~1506): 3사 기능 약화, 신언패를 착용, 신문고 폐지합니다.한글을 탄압하고, 사치와 향락(흥청망청, 장녹수)이 난무합니다.무오사화: 1498, 조의제문(김종직, 세조비판): 김일손이 올린 사초문제로 발생 → 영남 사림을 제거(김종직을 부관참시, 김일손을 능지처참, 김굉필. 정여창을 유배시킵니다.)훈구파가 주도(유자광, 이극돈)합니다. 1-1. 부관참시:※ 부관참시: 죽은 뒤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극형을 추시 하던 일을 뜻합니다. 관을 부수어 시신을 꺼낸 다음 다시 벰. 이미 죽어 뼈만 남은 시신에 매를 때리는 거나 칼로 베는 거를 뜻합니다. 특히 연산군 때 성행하여 김종직. 한명회. 송흠. 정여창. 남효온. 성현 등이 이 형을 받았습니다. 1-2. 갑자사화갑자사화:.. 2024. 6. 30.
조선 15세기 예종(1468~1469), 성종(1469~1494)의 업적 1. 예종(1468~1469):조선 예종: 조선 왕조의 중흥을 이끈 왕조선의 제4대 왕인 예종(1450-1469)은 짧은 재위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정치적 변화를 이루어낸 군주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습니다. 예종은 조선 왕조의 중흥을 이끈 왕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조선 왕실의 기틀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업적과 그가 이룬 변화들은 당시 사회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예종은 성종의 아버지로, 본명은 이향(李晿)입니다. 그는 조선 초기 왕들 중에서도 정치적 안정과 군사적 강화를 통해 나라의 기틀을 다진 중요한 왕 중 한 명으로 손꼽힙니다. 예종의 통치 시기는 다소 짧았지만, 그의 정치적 재능과 비전은 그를 역사에 길이 남게 했습니다. 예종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중앙.. 2024.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