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2

조선 16세기 왕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의 업적 1. 연산군(1494~1506): 3사 기능 약화, 신언패를 착용, 신문고 폐지합니다.한글을 탄압하고, 사치와 향락(흥청망청, 장녹수)이 난무합니다.무오사화: 1498, 조의제문(김종직, 세조비판): 김일손이 올린 사초문제로 발생 → 영남 사림을 제거(김종직을 부관참시, 김일손을 능지처참, 김굉필. 정여창을 유배시킵니다.)훈구파가 주도(유자광, 이극돈)합니다. 1-1. 부관참시:※ 부관참시: 죽은 뒤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극형을 추시 하던 일을 뜻합니다. 관을 부수어 시신을 꺼낸 다음 다시 벰. 이미 죽어 뼈만 남은 시신에 매를 때리는 거나 칼로 베는 거를 뜻합니다. 특히 연산군 때 성행하여 김종직. 한명회. 송흠. 정여창. 남효온. 성현 등이 이 형을 받았습니다. 1-2. 갑자사화갑자사화:.. 2024. 6. 30.
조선 15세기 예종(1468~1469), 성종(1469~1494)의 업적 1. 예종(1468~1469):조선 예종: 조선 왕조의 중흥을 이끈 왕조선의 제4대 왕인 예종(1450-1469)은 짧은 재위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정치적 변화를 이루어낸 군주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습니다. 예종은 조선 왕조의 중흥을 이끈 왕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조선 왕실의 기틀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업적과 그가 이룬 변화들은 당시 사회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예종은 성종의 아버지로, 본명은 이향(李晿)입니다. 그는 조선 초기 왕들 중에서도 정치적 안정과 군사적 강화를 통해 나라의 기틀을 다진 중요한 왕 중 한 명으로 손꼽힙니다. 예종의 통치 시기는 다소 짧았지만, 그의 정치적 재능과 비전은 그를 역사에 길이 남게 했습니다. 예종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중앙.. 2024. 6. 30.
cover_item_thumbnail 조선 15세기 문종, 단종, 세조의 업적 1. 문종(1450~1452)의 업적: 조선 왕조의 안정화와 문화 발전을 이끈 왕- 건강 악화로 2년 만에 사망합니다.- 재상중심(김종서, 황보인) 정치를 실시합니다.↓왕권이 약화됩니다.조선의 제5대 왕인 문종(문종, 1414~1452년)은 조선 왕조의 안정화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의 치세는 짧았지만, 문종은 국가의 정치적 안정을 확보하고 학문과 문화의 진흥을 도모하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습니다.1-1. 국정 안정화와 정치적 균형 유지문종은 부친 세종대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면서, 조선 왕조의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세종대왕의 사망 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권력 다툼이 일어날 수 있었지만, 문종은 신하들의 협력을 끌어내 왕권을 확립했습.. 2024. 6. 23.
조선 15세기 세종(1418~1450)의 업적 l 편찬사업 및 대외정책 세종대왕(재위 1418-1450)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펼친 대표적인 정책과 제도를 간추려 보면 다음 네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각 항목별로 핵심 내용과 의의를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집현전 정비 및 경연 강화 ● 집현전 충실화 - 학문 연구와 국정 자문 기능을 수행하던 집현전을 확대.정비하여, 유능한 학자들을 등용. - 정인지.성삼문.박팽년 등 신진 문인들이 적극 참여해 정책 이론적 토대를 구축. ● 경연 제도 활성화 - 왕과 신하가 경전(經典)을 강론.토론하며 국정 현안을 논의하는 '경연'을 정례화. - 세종 스스로 주재하여 신하들의 의견을 직접 듣고 법.제도에 반영함으로써, '문치(文治) 군주'로서 권위를 강화. 의의: ● "집현전을 통해 .. 2024. 6. 22.